사베지 나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베지 나이트는 시릴 콜라르가 감독, 각본, 주연을 맡은 1992년 프랑스 영화이다. HIV 양성인 카메라맨 장이 17세 배우 지망생 로라, 럭비 선수 사미와 맺는 복잡한 관계를 다룬다. 영화는 장의 질병과 정체성, 사랑과 상실을 탐구하며, 콜라르의 자전적 소설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1992년 개봉 당시 흥행에 성공했으며, 콜라르 사후 세자르상 4개 부문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2년 성소수자 영화 - 원초적 본능
1992년 개봉한 네오누아르 에로틱 스릴러 영화 원초적 본능은 샌프란시스코를 배경으로 은퇴한 록스타 살인사건을 수사하는 형사가 유력한 용의자인 범죄 소설가와 위험한 관계에 빠지는 이야기를 그리며, 선정적인 내용과 폭력성으로 논란이 되었지만 흥행에 성공하여 샤론 스톤을 스타덤에 올렸다. - 1992년 성소수자 영화 - 동방불패
동방불패는 영화 소오강호의 속편 시리즈로, 임청하가 여성적인 모습으로 연기한 동방불패 캐릭터로 유명하며 홍콩 박스 오피스에서 높은 흥행 수익을 기록했다. - 그래머시 픽처스 영화 - 너스 베티
2000년 개봉한 영화 너스 베티는 캔자스 웨이트리스 베티 시즈모어가 남편 살해 현장 목격 후 현실과 환상을 구분 못하게 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코미디 영화로, 르네 젤위거의 골든 글로브 여우주연상 수상 및 칸 영화제 각본상 수상과 함께 미디어 영향력, 정체성 혼란 등의 주제를 다룬다. - 그래머시 픽처스 영화 - 유주얼 서스펙트
《유주얼 서스펙트》는 1995년에 개봉한 미국의 범죄 스릴러 영화로, 대규모 범죄의 유일한 생존자가 사건의 전말을 진술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비선형적인 플롯과 반전으로 관객을 사로잡아 케빈 스페이시가 아카데미 남우조연상을 수상했다. - HIV/AIDS를 소재로 한 영화 - 더 노멀 하트
《더 노멀 하트》는 1980년대 초 뉴욕시 에이즈 위기 속에서 활동가 래리 크레이머의 경험을 바탕으로, 게이 남성 커뮤니티의 반응, 활동가들의 노력, 게이 남성 건강 위기(GMHC) 설립 과정, 에이즈 환자들이 겪는 차별과 무관심을 그린 2014년 HBO 영화이다. - HIV/AIDS를 소재로 한 영화 - 너는 내 운명 (2005년 영화)
박흥식 감독의 영화 《너는 내 운명》은 에이즈 감염 사실을 숨긴 다방 종업원과 순박한 농부의 헌신적인 사랑, 주변의 편견, 그리고 에이즈라는 현실적인 문제 속 고난과 갈등을 그린 멜로드라마이다.
사베지 나이트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Les Nuits fauves |
감독 | 시릴 콜라르 |
프로듀서 | 네라 반피 |
각본 | 시릴 콜라르, 자크 피에스키 |
출연 | 시릴 콜라르, 로만 보랭제, 카를로스 로페스 |
음악 | 르네-마르크 비니, 시릴 콜라르 |
촬영 | 마누엘 테랑 |
편집 | 리즈 볼리외 |
배급사 | 판 유럽 엔 디스트리뷰션 |
개봉일 | 1992년 10월 21일 (프랑스), 1993년 3월 20일 (미국), 1993년 6월 18일 (영국) |
상영 시간 | 126분 |
제작 국가 | 프랑스 |
언어 | 프랑스어 |
흥행 수입 | 662,341 달러 (미국) |
2. 줄거리
카메라맨이자 영화감독 지망생인 장은 "나는 마치 미국인 관광객처럼, 가능한 한 많은 도시들을 돌아다니며 인생을 살아가는 것 같아요."라고 말한다. 그는 잘생겼지만 자기 중심적이고 유치하며 쾌락적인 인물로, 복잡한 성생활을 한다. 그는 양성애자이며 HIV 양성이다.
영화의 주인공인 카메라맨 지망생 '''장'''(시릴 콜라르)은 자신을 "마치 미국인 관광객처럼, 가능한 한 많은 도시들을 돌아다니며 인생을 살아가는 것 같다"고 묘사한다. 그는 HIV 양성 반응을 가진 양성애자로, 17세 배우 지망생 '''로라'''(로만 보랭제)와 젊은 럭비 선수 '''사미'''(카를로스 로페스) 사이에서 복잡한 관계를 맺으며 영화의 중심 갈등을 이끈다.
장은 캐스팅 세션에서 활기찬 17세 배우 지망생 로라를 만난다. 그녀의 매력에 빠진 장은 로라를 쫓고, 로라는 빠르게 그와 사랑에 빠져 격정적인 관계를 시작한다. 동시에 장은 젊은 럭비 선수 사미와도 관계를 맺는다. 스페인 이민자 출신으로 실업 상태인 사미는 이성애자이고 여자친구 마리안과 동거 중이지만, 장과의 동성애적 관계에 거리낌이 없다. 장은 사미에게 깊이 빠진다.
장과 로라의 관계는 장이 HIV 감염 사실을 처음에는 숨기면서 복잡해진다. 그는 성관계를 가진 후에야 로라에게 사실을 털어놓는다. 로라와 그녀의 어머니는 처음에는 격분하지만, 이미 장을 깊이 사랑하게 된 로라는 관계를 이어갈 뿐 아니라, 장의 바람대로 콘돔 사용을 거부한다.
장은 자신의 병을 받아들이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친구 노리아는 "환상을 버려. 네 병으로부터 배워."라고 조언하지만, 그는 쉽게 평온을 찾지 못한다. 장은 끊임없이 새로운 관계를 찾아 헤매며 자신의 상황을 이해하려 애쓰고, 스스로를 "운명에 의해 낙인찍히고 내면에 진정한 존엄성을 가진 사람"인 '저주받은 반역자'로 여긴다.
로라 역시 감정적인 문제를 겪으며 일하던 가게 주인에게 폭발하여 직장을 잃기도 한다. 그녀는 장의 양성애(사미와의 관계)와 어두운 크루징 장소에서의 익명적인 성관계 때문에 감정적으로 폭발한다. 장은 이러한 성적 만남을 통해 자기 파괴적인 충동을 해소하고, 자신의 병과 로라, 사미와의 관계에서 오는 좌절감으로부터 도피처를 찾는다.
사미는 장에게 의지하며 가학·피학적 성향과 폭력에 눈뜨게 된다. 그는 마리안을 떠나 장과 함께 살기 시작하고, 이에 분노한 마리안은 장을 비난한다. 인종차별주의 스킨헤드와의 싸움 후, 사미는 장에게 사랑을 고백한다.
로라는 점점 더 절망에 빠져 "당신을 떠나게 도와줘!"라고 외치지만, 장은 감정적으로 거리를 둔다. 밤새 파티를 한 후 장은 친구들에게 "나는 살고 싶어"라고 외치지만, 이는 죽음에 대한 부정처럼 보인다. 다음 날 아침, 로라는 장이 침대에서 사미뿐 아니라 그의 전 여자친구와 함께 있는 것을 발견하고 격분한다. 이후 로라는 장의 자동 응답기에 사랑을 구걸하거나 그의 삶을 망치겠다고 위협하는 메시지를 끊임없이 남긴다.
결국 로라는 자살하겠다고 위협하며 장이 자신을 HIV에 감염시켰다고 주장한다. 그제야 장은 개입하여 로라의 어머니와 함께 로라를 위한 심리적 도움을 알아본다. 그러나 장은 여전히 자신의 삶에서 의미를 찾지 못하고 어머니와의 대화는 고통스럽기만 하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자동차 사고를 당하기도 하며, HIV 치료를 피하고 성생활에서도 무모함을 보인다.
얼마 후, 장은 다시 로라를 찾아가 마침내 사랑한다고 말하려 하지만, 로라는 이미 그와의 관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남자 친구를 사귀고 있었다. 자신과 화해한 로라와 장은 짧은 대화를 나누고 부드럽게 키스한 뒤 헤어진다. 장은 마침내 자신의 HIV 상태와 삶에 대해 평화를 찾는다.
이 영화는 감독 시릴 콜라르가 자신의 자전적 소설을 직접 각색하고 연출, 주연까지 맡은 작품이다. 동성애자이자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 감염자인 주인공이 여성과의 첫사랑 앞에서 흔들리는 과정을 그린다. 콜라르는 촬영 당시 실제로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을 앓고 있었으며, 영화 속 치료 장면 등은 실제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여겨진다.
3. 등장인물
3. 1. 주요 인물
3. 2. 조연
wikitext
배역 | 배우 |
---|---|
장 | 시릴 콜라르 |
로라 | 로만 보랭제 |
사미 | 카를로스 로페스 |
로라의 어머니 | 코린 블루 |
장의 어머니 | 클로드 윈터 |
마르크 | 르네-마르크 비니 |
노리아 | 마리아 슈나이더 |
마리안 | 클레망틴 셀라리에 |
카린 | 로라 파발리 |
피에르 올리비에 | 장-자크 조프레 |
카데르 | 아이사 자브리 |
파코 | 프란시스코 히메네스 |
실비 | 마린 델테름 |
하이메 | 디에고 포레스 |
지페 | 스테판 라카토스 |
마르시알 | 크리스토프 상트르 |
앙드레 씨 | 미셸 볼레티 |
베로 | 레진 아르노 |
올리비에 | 올리비에 샤바로 |
자멜 | 사미르 게스미 |
의사 | 클라우디오 자카이 |
카미유 | 도미니크 피가로 |
감독이자 주연 배우인 시릴 콜라르는 원래 장 역으로 다른 배우를 염두에 두었으나, 해당 배우가 촬영 직전 수감되는 바람에 직접 역할을 맡게 되었다. 콜라르의 오랜 동료인 코린 블루는 극중 로라의 어머니 역으로 출연했다.
4. 제작
시릴 콜라르의 자전적 소설을 원작으로 하여 영화화되었다. 콜라르 본인이 직접 감독과 각본을 맡았으며, 주연인 장 역할까지 소화했다. 원래 장 역할은 다른 배우가 맡을 예정이었으나, 해당 배우가 촬영 시작 전에 수감되면서 콜라르가 직접 연기하게 되었다. 콜라르는 촬영 당시 실제로 AIDS를 앓고 있었으며, 영화 속 치료 장면 등은 이러한 실제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콜라르의 오랜 동료인 코린 블루가 로라의 어머니 역으로 출연했다.
5. 평가 및 반응
1992년 10월 프랑스에서 개봉하여 즉각적인 반향을 일으켰으며, 2,811,124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그 해 프랑스 박스오피스 9위를 기록했다.[2] 영화는 감독 시릴 콜라르가 에이즈로 사망한 지 3일 후인 1993년 3월에 열린 세자르상 시상식에서 작품상, 신인 작품상, 편집상, 여자 신인상 - 로만 보링거 등 4개 부문을 수상했다.
주요 평론가들의 평가는 다음과 같다.
- 10선 (알파벳순, 순위 없음) – 맷 졸러 세이츠, ''댈러스 옵저버''[3]
- 10선 차점자 (순위 없음) – 자넷 매슬린, ''뉴욕 타임스''[4]
- 가작 – 베시 피클, ''녹스빌 뉴스-센티넬''[5]
6. 감독의 관점
감독이자 작가, 주연 배우인 시릴 콜라르는 이 영화에서 에이즈(AIDS)가 단지 배경 설정일 뿐이라고 설명한다. 그는 에이즈를 토마스 만의 소설 ''마의 산''에 등장하는 결핵에 비유하며, 주인공 장이 질병과 벌이는 투쟁은 단순히 병마와의 싸움을 넘어 어리석음, 사회에 만연한 온갖 종류의 인종차별, 그리고 폭력적인 억압과의 투쟁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콜라르에 따르면, 주인공 장은 HIV 감염 사실에도 불구하고 이전과 다름없이 일상생활을 이어간다. 그는 계속해서 술을 마시고, 웃으며, 심지어 과속 운전을 하는 등 자신만의 방식으로 사회적 금기에 도전한다. 이는 질병 자체를 하나의 정체성으로 받아들이며 스스로를 가두는 일부 사람들과는 다른 모습이다. 장은 자신을 HIV 양성이라는 틀에 가두려 하지 않는다.
''사베지 나이트''는 시릴 콜라르 자신의 자전적 소설을 원작으로 하며, 그가 직접 각본, 감독, 주연을 맡은 작품이다. 영화는 양성애자이자 AIDS에 감염된 주인공이 여성과의 첫사랑 앞에서 흔들리는 모습을 그린다. 특히 콜라르 감독 자신이 영화 촬영 당시 실제로 AIDS를 앓고 있었기에, 영화 속 투병 장면 등은 그의 실제 경험이 반영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배경은 영화 속 주인공 장의 모습과 감독의 관점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열쇠를 제공한다.
7. DVD 출시
''사베지 나이트''는 지역 2 DVD로 출시되었다. 프랑스에서 발매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Savage Nights (1994) – Box Office Mojo
https://boxofficemoj[...]
[2]
웹사이트
Les Nuits fauves (Savage Nights) (1992)- JPBox-Office
http://www.jpbox-off[...]
[3]
뉴스
Personal best From a year full of startling and memorable movies, here are our favorites
1995-01-12
[4]
웹사이트
CRITIC'S NOTEBOOK; The Good, Bad and In-Between In a Year of Surprises on Film
https://www.nytimes.[...]
2020-07-19
[5]
뉴스
Searching for the Top 10... Whenever They May Be
1994-12-30
[6]
웹사이트
Savage Nights
https://www.boxoffic[...]
Amazon.com
2012-05-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